loading

꿀벌의 투자 블로그

무엇을 하든 스스로 새로운 시작의 문을 열었을 때는 문 안에 있는 낯선 지식들의 습득은 필수입니다. 특히 본격적으로 주식투자에 나설 때의 최대 난관은 주식용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용어들은 주식토론방, 뉴스기사 등 주식에 관련된 정보들에서는 거의 필연적으로 등장한다고 보면 됩니다.

 

용어들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A기업" 이라는 가상의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기업

 

  • 시가총액: 8,000만원
  • 순이익: 5,000 만원
  • 한주당 가격: 20 만원
  • 총발행주식수: 1,000주
  • 배당금: 700만원
  • 자산: 3억 3,000 만원
  • 자본: 3억원
  • 부채 3,000 만원

 

주식 기초용어 알아보기

EPS = 주당 순이익 [순이익 ÷ 총발행주식수]

 

주식 투자자들의 가장 기본적인 행위는 매수와 매도로 크게 구분됩니다. 투자자는 회사의 가치, 혹은 단기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 특정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게 되는데, 이때 EPS를 통해 주식 1주당 해당 기업이 얼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A기업의 예시로 설명하자면 A기업이 순이익을 5,000만원 가량 내었고 총발행주식수가 1,000주이니 50000000 ÷ 1000 = 50000 이므로 EPS(주당 순이익)는 5만원이 되는겁니다.

 

순이익 5,000만원에 총발행주식수 1,000주의 주식시장에서 A기업의 주가가 20 만원에 형성되어 있으며 EPS는 5만원이니 꽤 좋은 효율의 투자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 이유는 기업은 20만원으로 5만원의 이익을 냈다는 말이기 때문이죠.

 

PER = 주가수익비율 [주가 ÷ EPS]

 

A기업의 PER을 계산해봅시다. 현 주가 20만원 ÷ EPS 5만원 = 4 입니다. PER은 한주당 수익비율을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매우 편리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각 주식마다 업종과 주식 상황에 따라 PER의 평균값은 상이합니다. 그 이유는 미래가치가 다르기 때문이죠.

 

만약 A기업이 전망이 매우 밝고 꾸준한 수익실현을 보장한다면 가치가 상당히 높은 기업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미래 가치는 높은데 PER이 낮아서 주가가 굉장히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PER이 높고 낮음에 따라 해당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ER이 높을 때 

1. 주당 순이익이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높을 경우 
 ▶ 현재 기업에서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주가가 높게측정 = 시장에서 미래가치를 인정받고 앞으로 성장할 기업 

2. 주가가 평균 수치를 맴돌지만 주당 순이익이 낮을 경우 
 ▶ EPS(1주당 순이익)이 감소한 기업

 

PER이 낮을 때

1. 주당 순이익이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낮은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낮지만 주당 순이익이 단조로워 투자자들에게  소외받고 있는 기업

2. 주가가 평균 수치를 맴돌지만 주당 순이익이 높을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낮지만 주당 순이익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소외받는 기업이지만 곧 관심을 얻게 될 기업

3. 주가가 매우 낮지만 주당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는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매우 낮지만 주당 순이익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소외받는 기업이지만 곧 관심을 얻게 될 기업


DPS = 1주당배당금 [배당금 ÷ 총발행주식수]

 

요새 핫한 SPAC 주식들은 대부분 배당금의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좋은 기업들은 높은 배당금을 줍니다. A기업의 배당금은 700만원이니까 1주당 배당금은 배당금700만원 ÷ 총발행주식수1000 = 7000원입니다. 이는 한주당 가격 20만원의 약 3.8% 정도니 현재 낮은 은행금리를 2%라고 가정한다면 투자할 가치가 상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ROE = 자기자본이익률 [(순이익 ÷ 자본) x 100%]

 

내가 투자한 기업이 자기자본이익률이 높다면 해당 기업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많이 창출하는 기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ROE는 회사가 보유한 자본을 바탕으로 얼만큼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보면 됩니다. A기업의 ROE는 (순이익 5,000 만원 ÷ 자본 1억원) x 100 = 50% 입니다.

 

ROI = 투자자본이익률 [(순이익 ÷ 총자산) x 100%]

 

기업이 자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면 수익률은 올라갈 것이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된다면 당연히 수익률은 떨어질겁니다. 어찌보면 ROE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다른점은 자본이 아니라 기업의 총자산으로 측정한다는 점입니다. 자산은 자본과 부채의 합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A기업의 ROI는 (순이익 5000만원 ÷ 총자산 3억 3천만원) x 100 = 15.15% 입니다.

 

PBR = 주가순자산비율 [주가 ÷ 주당순자산]

 

기업의 땅, 기계, 금융자산 등을 모두 처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일 때 투자자에게 1주당 지급되는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A기업을 보면 순자산이 자본 3억 - 부채 3000만원 = 2억 7000만원입니다. 주당순자산은 주당순자산 2억 7000만원 ÷ 총발생주식수 1000주 = 27만원이 되는 것이죠. 그렇기에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 20만원 ÷ 주당순자산 27만원 = 0.740 이므로 회사의 장부가치가보다 주가가 낮게 평가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주식의 기초용어들을 A기업의 예를 들어 쉽게 풀이 및 설명해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주린이 공부방에 투자에 도움이 될만한 유익한 글들을 꾸준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창에 "꿀벌의 주식 블로그"를 검색! 
반응형